DNS란 ?
-> 평소 우리가 쓰는 인터넷 주소(URL)은 문자 형식으로 되어있다 (ex. www.naver.com, www.google.com)
인터넷에 문자형식의 주소를 치게되면 시스템은 IP주소로 바꾸어 위 주소로 접속하게된다.
DNS(Domain Name Server)는 말그대로 문자형식의 주소명을 IP주소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.
국내 DNS서비스는 아래와 같다. 주로 ISP 사업자 즉 통신사업자에서 제공을 하며, 국내 인터넷 서비스업체에서 제공하는 만큼 빠른 속도를 가지고있는게 장점이다.
**국내 DNS 서비스 1. KT KT에서 제공하는 DNS 입니다. 주 : 168.126.63.1 보조 : 168.126.63.2 2. SK Broadband SK 브로드밴드에서 제공하는 DNS 입니다. 주 : 210.220.163.82 보조 : 219.250.36.130 3. LG U+ 엘지 유플러스에서 제공하는 DNS 입니다. 주 : 164.124.101.2 보조 : 203.248.252.2 4. CJ Hellovision CJ헬로비전 에서 제공하는 DNS 입니다. 주 : 180.182.54.1 보조 : 180.182.54.2 |
리눅스에선 DNS 서버 주소를 /etc/resolv.conf에서 확인할 수 가 있다.
리눅스는 최대 3개의 NameServer을 지정할 수 있으며, 1번서버에서 장애가 날 시에 2,3번서버로 번갈아가며 연결을 시도한다
#vi /etc/resolv.conf
; Created by cloud-init on instance boot automatically, do not edit.
;
# Generated by NetworkManager
nameserver 168.126.63.1 #1번Name서버
nameserver 168.126.63.2
nameserver 8.8.8.8
감사합니다.
출처: https://rootblog.tistory.com/190
출처: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jsky10503&logNo=220745689461&proxyReferer=https:%2F%2Fwww.google.com%2F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사용자 생성 및 삭제 (0) | 2024.02.21 |
---|---|
[Rocky] Vmware Workstation Player 내 Rocky OS 설치 (0) | 2024.02.21 |
[Linux] Chrony를 이용한 NTP 설정 (2) | 2023.10.17 |
[Linux] SSL인증서 (0) | 2023.08.02 |
[Linux] 방화벽 오픈 - 크롬에서 서버접근이 안될때 (0) | 2023.07.24 |